Home > ICNK 활동 > 활동

 
Date : March 24, 2017
납북문제 해결과 반인도범죄 책임규명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

납북문제 해결과 반인도범죄 책임규명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



○ 3개국(한, 일, 태) 납북 피해자 가족, 도쿄 국제 심포지엄에서 피해가족의 송환 촉구 예정

○ 납북 가해자(정찰국 출신 탈북자)의 북한당국의 외국인 대상 납치 활동 증언

○ 시네 폴슨 OHCHR 서울 사무소 소장의 유엔 차원 책임규명을 위한 제안



(도쿄, 3월 15일) -- 오는 3월 17일, 태국, 일본, 한국 등 3개국 납북 희생자 가족이 일본 도쿄의 ‘납북문제 해결과 반인도범죄 책임규명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할 예정이다.


본 국제 심포지엄은 ICNK(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와 대북방송협회, 북한민주화네트워크가 공동 주최하고 노펜스, 특정실종자문제조사회 등 일본 내 북한 인권단체들과 재일한국유학생 연합회 등이 협력하여 진행한다.


북한당국에 의해 자행된 납북 피해자 가족들은 북한당국에 의해 자행된 반인도범죄의 책임 규명 문제를 위해 ICC 제소를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할 것을 해당 정부 및 유엔에 촉구할 예정이다. 본 행사에 참석할 피해자 가족은 태국의 반종 판조이(아노차 판초이 씨 조카)씨와 일본의 마시모토 테루야키씨(일본 납치 피해가족), 한국의 황인철 씨(KAL기 납치 피해가족)와 조충희(북송재일교포 2세)씨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한편 북한 정찰국 출신 탈북자가 가해자 증언으로 나서 정찰국에 의해 자행된 외국인 납치에 대한 증언과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피살된 김정남 암살 사건에 대한 분석도 발표할 계획이다.  또 OHCHR 서울사무소 시네 폴슨 (Signe Poulson) 소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제 34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발표된 ‘독립적 전문가 그룹’ 보고서의 책임규명을 위한 활동방안과 권고내용들을 설명하고, 납북문제 해결을 위한 OHCHR의 입장을 내놓을  예정이다.  


이번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ICNK 권은경 사무국장은 “유엔의 COI가 조사한 북한의 인권유린 유형 중 납치 및 강제실종은 반인도범죄에 해당하는 중대한 범죄행위다”라며, “전 세계에 거쳐 희생자들이 존재하고, 사건 발생 정황이 국제적으로 명확히 밝혀진 것이 대부분이므로 반인도범죄 책임규명을 위한 논의를 납북문제로 시작하는 것이 유효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본 심포지엄 참석자들은 행사를 마치며 공동성명서를 발표하고 관련 정부 및 유엔 기구에 납북 피해자 송환과 북한의 반인도범죄 해결을 촉구할 계획이다.

Prev  Next